국민내일배움카드는 직업훈련비를 지원받을 수 있는 유용한 제도이지만, 카드를 분실했거나 훼손되었거나, 유효기간이 만료된 경우에는 재발급 또는 유효기간 연장이 필요합니다. 이럴 때는 간단한 내일배움카드 재발급 절차를 통해 다시 사용할 수 있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국민내일배움카드 혜택을 다시 누리고 싶다면 아래 ‘국민내일카드 바로가기’ 를 눌러보세요!
국민 내일배움카드
발급 내역 확인 방법
국민 내일배움카드를 재발급하거나 연장하려면, 가장 먼저 현재 소지하고 있는 카드의 발급 내역을 확인해야 합니다.
오프라인으로 재발급 신청할 경우 카드사 지점 방문 시 발급 확인서가 필요하므로 출력하여 지참하시면 됩니다.
고용24(www.work24.go.kr)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나의 카드 메뉴에서 발급된 카드사 정보와 재발급 가능한 영업점의 연락처, 관할 고용센터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① 고용24(www.work24.go.kr)접속
② 로그인 후 나의 카드 메뉴 클릭
③ 카드 신청내역 확인 및 영업점 찾기
④ 발급확인서 출력
내일배움카드 재발급 방법
📌 유효기간이 지났을 때
국민 내일배움카드의 기본 유효기간은 5년이지만, 실물 카드와 HRD-Net 상의 유효기간은 다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카드로 자비부담 훈련과정을 수강하실 때는 실물 카드와 HRD-Net상의 유효기간이 모두 만료되기 전에만 수강 신청이 가능합니다.
• 실물 카드 유효기간 : 일반적인 신용카드나 체크카드처럼 결제가 가능한 유효기간입니다. (년, 월만 표기)
• HRD-Net 유효기간 : 수강 신청 시 정부 지원금을 사용할 수 있는 유효기간으로 직업훈련포털에서 ‘나의 정보’ 메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년, 월, 일까지 표기)
① 실물카드 유효기간 만료인 경우
실물 카드의 유효기간이 만료되었을 경우에는 일반 카드처럼 신규 발급을 받으셔야 합니다. 본인 신분증과 내일배움카드 발급확인서를 지참하고 방문하면 됩니다.
① HRD-Net 상의 유효기간 만료인 경우
HRD-Net 상의 유효기간이 만료된 경우, HRD-Net에서 카드 발급 신청을 하면 됩니다. 신청 시 기존 카드를 재사용 또는 새로운 카드로 발급 중 선택을 하실 수 있으며, 신규 발급 시에는 새로운 카드번호가 부여됩니다. 또한 HRD-Net 상의 유효기간과 지원 금액 한도도 갱신됩니다.
국민 내일배움카드 발급 관련 궁금한 사항은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를 통해 상담 받을 수 있습니다.
• 전화 상담 : 국번 없이 1350 (평일 09:00~18:00)
• 모바일 상담 : 1350.moel.go.kr (평일 09:00~16:00 ,점심시간 12:00~13:00)
• 인터넷 상담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홈페이지 내 ‘빠른 인터넷 상담’에 등록(평일 09:00~18:00)
• 카카오톡 상담(챗봇) : 카카오톡 친구추가 ID 고용노동부고객상담센터(365일 24시간)
📌 유효기간이 남았을 때
카드를 중도에 분실했거나 훼손 등의 사유로 내일배움카드 재발급이 필요한 경우, 유효기간이 남아 있다면 기존 카드의 유효기간과 한도는 그대로 승계가 됩니다.
① 카드사 영업점 방문
처음에 발급 받았던 카드사 영업점을 직접 방문하여 재발급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이때 본인 신분증과 내일배움카드 발급확인서를 지참하고 방문하면 됩니다. 방문 전에 이외 필요한 서류와 절차가 있는지 미리 카드사에 문의하신 후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② 카드사 전화
국민 내일배움카드를 발급받았던 카드사에 연락하여 재발급을 요청합니다. 카드사 확인 방법은 위의 단계를 따르시면 됩니다. NH카드와 신한카드의 대표 전화번호는 다음과 같습니다.
• NH카드 고객센터 : 1644-4000
• 신한카드 고객센터 : 1544-7000
국민 내일배움카드
혜택 및 활용방법
국민내일배움카드는 5년간 500만원 한도내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훈련비를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국민내일배움카드의 혜택, 사용처, 사용방법 등 자세한 활용법은 아래에서 확인해보세요.
전 국민 누구나 직업훈련포털(HRD-Net)에서 인정한 다양한 훈련과정을 수강할 수 있으며, 해당 과정에 따라 훈련비의 일부 또는 전액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실업자, 재직자, 자영업자 등 다양한 계층이 활용 가능하며, 자격증 취득이나 직무 능력 향상을 위한 과정에도 사용할 수 있어 취업과 이직 준비에 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