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공무원 봉급표, 정년연장 나이 알아보기

 

2025 공무원 봉급표

기획재정부가 2025년도 예산안을 발표하며 공무원 봉급 인상률이 공개되었습니다. 올해보다 0.5% 높은 3.0% 인상률은 2017년 이후 8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인상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육아휴직 제도 개선과 처우 변화 등 다양한 정책이 더해져 공무원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공무원 봉급 인상률, 처우 개선 사항, 그리고 관련 이슈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직종별 공무원 봉급표 보기👆

 

2025 공무원 봉급
무엇이 달라졌나?


공무원 봉급 인상률, 8년 만에 최대폭 인상

2025년 공무원 봉급은 전년 대비 3.0% 인상되었습니다. 이는 최근 몇 년 동안 낮았던 인상률과 물가 상승률을 감안한 결과인데요. 기획재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해 억제되었던 봉급 인상률을 회복하고, 실질 임금을 보전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이번 인상은 직급별로 차등 적용되었습니다.

 • 6급 이하: 3.3%
 • 5급 이상: 2.5%

봉급 인상 외에도 정액급식비와 직급보조비가 증가했습니다.

 • 정액급식비: 14만 원 → 15만 원
 • 직급보조비: 기존 대비 2만 5천 원 인상

이를 통해 기본급 외 추가 혜택도 확대되었습니다.

 

공무원 처우 향상, 육아휴직 개선

봉급 인상과 더불어 육아휴직 관련 정책에도 큰 변화가 있습니다. 행정안전부와 인사혁신처는 육아휴직 기간 전체를 경력으로 인정하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 경력 인정 확대

기존에는 첫째 자녀 1년, 둘째 자녀부터 3년까지만 근무 경력으로 인정되었는데요. 앞으로는 자녀 수와 관계없이 육아휴직 전체 기간을 경력으로 인정하는 방향으로 바뀝니다.

✅ 육아휴직수당 상한액 인상

기존 150만 원이던 육아휴직수당 상한액이 250만 원으로 대폭 인상될 예정입니다. 세부적인 내용은 행정안전부와 인사혁신처의 발표를 통해 확정됩니다.

이러한 변화는 공무원들이 가정과 일을 병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보입니다.

 

2025 일반직 공무원 봉급표

2025년 공무원의 봉급은 전년 대비 3% 인상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일반직 9급 1호봉 공무원 기준으로 연봉이 약 900,000원 상승해 세전 기준 약 31,000,000원에 이를 것으로 보입니다. 월 기본급 역시 기존 1,877,000원에서 1,933,000원으로 약 56,000원 증가하게 됩니다.

직종별 공무원 봉급표 보기👆

 

호봉 1급 2급 3급 4급~6급 5급~6급 6급~7급 7급~8급 8급~9급 9급~1급
1 4,498,600 4,049,900 3,653,800 3,131,600 2,798,500 2,308,700 2,112,100 1,970,800 1,933,300
2 4,656,300 4,200,100 3,789,000 3,259,400 2,911,500 2,416,100 2,183,200 2,021,300 1,954,000
3 4,818,000 4,352,400 3,928,200 3,389,400 3,029,000 2,526,800 2,275,300 2,080,400 1,983,000
4 4,983,300 4,506,000 4,068,400 3,522,400 3,151,000 2,640,000 2,371,500 2,146,200 2,020,400
5 5,152,700 4,661,900 4,210,900 3,657,200 3,276,200 2,756,600 2,480,300 2,228,500 2,066,900
6 5,324,100 4,817,300 4,354,800 3,793,400 3,403,900 2,876,400 2,591,900 2,331,300 2,122,300
7 5,488,000 4,976,000 4,500,500 3,930,700 3,533,600 2,996,600 2,704,100 2,434,400 2,197,300
8 5,673,300 5,133,900 4,646,400 4,068,700 3,664,900 3,117,100 2,817,200 2,533,700 2,287,400
9 5,851,300 5,292,900 4,793,600 4,207,200 3,796,700 3,238,000 2,924,700 2,628,300 2,373,600
10 6,030,200 5,451,700 4,940,700 4,345,600 3,929,300 3,351,400 3,027,300 2,717,900 2,456,700
11 6,208,700 5,611,300 5,088,100 4,485,100 4,053,400 3,458,900 3,124,100 2,804,500 2,535,700
12 6,393,300 5,776,400 5,240,800 4,616,500 4,172,900 3,564,800 3,219,200 2,889,200 2,614,400
13 6,578,900 5,942,500 5,382,800 4,739,200 4,286,400 3,664,400 3,309,500 2,970,500 2,689,600
14 6,765,000 6,092,900 5,514,600 4,853,300 4,392,200 3,758,500 3,395,700 3,048,400 2,763,100
15 6,927,600 6,231,500 5,636,100 4,961,800 4,492,200 3,848,900 3,478,200 3,123,100 2,833,100
16 7,072,100 6,358,500 5,749,300 5,063,700 4,586,300 3,933,600 3,556,100 3,195,300 2,900,600
17 7,200,100 6,475,400 5,854,500 5,158,200 4,674,800 4,014,400 3,631,000 3,262,600 2,967,000
18 7,314,100 6,582,300 5,958,400 5,246,500 4,758,300 4,090,900 3,702,500 3,327,800 3,028,500
19 7,416,200 6,681,100 6,042,200 5,329,000 4,837,000 4,163,400 3,770,000 3,390,600 3,089,200
20 7,507,800 6,771,100 6,127,600 5,406,100 4,910,800 4,231,500 3,834,200 3,450,300 3,146,300
21 7,592,100 6,853,500 6,206,100 5,478,100 4,980,200 4,297,200 3,895,500 3,507,400 3,201,400
22 7,667,200 6,929,100 6,278,700 5,545,600 5,045,400 4,358,900 3,953,200 3,562,200 3,253,700
23 7,730,800 6,998,200 6,345,700 5,609,100 5,106,500 4,416,700 4,009,300 3,614,300 3,303,600
24 7,054,800 6,408,500 5,164,400 4,472,000 4,062,300 3,664,600 3,351,500 3,351,500
25 7,108,800 6,459,700 5,218,800 4,524,400 4,112,600 3,712,400 3,397,100 3,397,100
26 6,508,900 5,769,900 5,270,000 4,574,000 4,160,800 3,758,700 3,438,400
27 6,554,400 5,812,500 5,312,500 4,621,100 4,201,600 3,797,300 3,474,000
28 5,853,400 5,353,300 4,660,600 4,239,600 3,834,500 3,508,200
29 5,390,800 4,697,500 4,276,400 3,869,700 3,541,200
30 5,427,200 4,734,100 4,311,500 3,903,700 3,573,300
31 4,767,900 4,344,400 3,936,800 3,604,900
32 4,799,800

 

공무원 정년퇴직 나이는?

공무원 정년퇴직 나이는 기존 60세에서 65세로 연장될 예정이며, 이는 2025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정년 연장은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고, 숙련된 공무원의 경험을 더욱 오래 활용하기 위한 정책적 변화입니다.

정년 연장 자세히 보기👆

 

정년이 연장됨에 따라 공무원들은 더 오랜 기간 안정적으로 근무할 수 있으며, 국민연금 수령 시기와의 공백을 최소화하는 데도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현재 국민연금은 출생 연도에 따라 만 62세~65세부터 수령 가능하므로, 정년 연장으로 경제적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공무원 연금과 국민연금을 연계한 재정적 안정성이 강화될 것으로 보이며, 추가적인 법적, 제도적 정비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공무원 봉급과
최저임금
역전 현상과 문제점

최근 몇 년간 공무원 봉급 인상률이 물가 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하면서 일부 직급의 봉급이 최저임금보다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이는 공무원들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사기를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 공무원 퇴직 증가

이러한 이유로 인해 직업 안정성에도 불구하고 공무원을 떠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특히 2023년에는 재직 3년 미만의 퇴직자가 8,773명에 달하며, 2019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2025년 봉급 인상률이 8년 만에 최대폭으로 결정되었다는 점은 의미가 큽니다.


2025년 공무원 봉급 인상과 처우 개선은 단순한 경제적 보상이 아니라, 공무원들의 사기를 높이고 인력 유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정책적 결정으로 보입니다. 특히 육아휴직 제도의 변화는 공무원들이 가정과 직장을 모두 지킬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그러나 최저임금과의 역전 현상, 물가 상승률을 따라잡지 못하는 봉급 수준 등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남아 있습니다. 앞으로 공무원 처우와 관련된 정책이 지속적으로 발전하며, 경제적 안정과 직업 만족도를 동시에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가길 기대합니다.